식민지 역사 박물관
민족문제연구소가 운영하는 사립박물관으로 2018년에 개관
주소:서울 용산구 청파로 47다길 27 1층
운영 시간: 화요일~일요일 10:30~18:00 (월 정기휴무)
관람료:무료
작은 규모의 박물관으로 1층은 기획전시실, 뮤지엄숍, 이벤트홀 등 복합문화공간이고, 2층은 기록영상을 관람할수있으며 식민지 생활상 체험을 할수 있는 상설전시실이다. 3층은 민족문제연구소와 4층은 자료실, 5층은 강의실로 쓰인다.
식민지 역사 박물관의 개요
1905년 을사조약 통감 시대와 1910년 ~ 1945년까지의 일제 식민지 역사 그리고 해방 이후의 친일파 청산과 친일인명사전 발행에 대한 내용을 전시한다.
일제 및 친일파, 매국노들의 만행과 애국지사와 독립운동가들의 활약과 업적을 소개하고 있다.
건설 의의
식민지 역사 박물관은 식민지 시대를 보존하고 전파하기 위한 박물관으로 식민지 시대의 역사와 문화, 그 시대 삶과 사회에 대한 흥미로운 사건들, 과거의 경험들을 되짚어 보게 해준다. 또, 일반 대중들도 쉽게 접하기 위한 식민지 역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도 존재하는데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해 역사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게 만들어준다.
여러 연령층을 위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특히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역할극,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체험학습 등 프로그램으로 흥미를 유도하는 등 식민지 역사 박물관을 만든 목적을 밝혀준다.
전시내용
* 일제의 한반도 침략의 역사
* 을사조약과 의병 활동
* 국권피탈과 독립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독립운동가들의 활약
* 역대 조선총독 목록
* 을사조약, 정미조약, 병합조약 가담자 목록
* 친일파 행적과 목록
* 일제의 만행과 죄악
* 강제 징집과 위안부
* 쇠붙이의 수탈과 무기화
* 황국신민서사와 신사참배
* 해방 이후의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 위안부 피해자들과 한일 시민단체의 활동
* 친일인명사전 발행과 친일파들의 행적
상설 전시 (2층)
1부 일제는 왜 한번도를 침략했을까.
2부 일제의 침략전쟁, 조선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3부 한시대 다른 삶, 친일과 항일.
4부 과거를 이겨내는 힘,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체험 전시관
1평에서 체험하는 식민지: 학교와 감옥
고백과 성찰을 위한 기록, 친일인명사전
주요 방문객, 관람층
대한민국 시민이라면 관심 있을 소재이기 때문에 특정 방문객이 자주 방문하기 보다는
식민지 역사 박물관은 식민지 시대를 보존하고 전파하기 위한 박물관으로 식민지 시대의 역사와 문화, 그 시대 삶과 사회에 대한 흥미로운 사건들, 과거의 경험들을 되짚어 보려는 방문객들이 주이다.
과거의 아픈 기억과 교훈을 되새기기 위해 설립된 것처럼 과거에 식민지 시대가 존재했던 한국인에겐 남녀노소 불문하고 여러 관람층이 존재한다.
현장 유의 사항
홍보용과 기록용으로 박물관 직원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전시물에 손을 대거나 손상을 입힐 수 있는 행위는 피해야한다.
플래시, 삼각대 등을 이용한 촬영이나 상업적 용도의 촬영은 금지된다.
'디자인씽킹&시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6. 아이디어 도출 (0) | 2025.04.16 |
---|---|
Week6. 인터뷰, 패턴 인식하기, 퍼소나 만들기 (0) | 2025.04.09 |
Week.4 디자이너& 프로세스 리서치 (0) | 2025.04.09 |
Week.4 인터뷰+패턴 인식/테마 찾기 (0) | 2025.04.02 |
Week.3 현장조사 리서치 (1) | 2025.03.26 |